교육부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한
중등 성인지 감수성 교육

Ⅲ.디지털 성폭력 예방 실천
  • 이 단원에서는
    • 디지털 미디어 사용이 일상화된 청소년들이 디지털 성폭력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경각심을 가집니다. 디지털 성폭력의 실태와 원인, 잘못된 통념을 다시 한 번 정리하고, 디지털 성폭력에 노출되었거나 디지털 성폭력을 목격했을 때 할 수 있는 행동을 생각해봅니다.
    • 참고자료를 통해 단톡방 에티켓, 디지털 성폭력 피해 시 구체적 대응방법 및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과 지원 내용, 피해 목격 시 할 수 있는 일, 성폭력 통념 체크리스트 등을 복습합니다.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한 홍보 영상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성폭력 발생 시 할 수 있는 일을 구체적으로 익힙니다.
  • 차시 소개
  • 차시 제목 차시 학습목표
    9차시 디지털 성폭력 예방하기 전 차시를 복습하고, 디지털 성폭력과 관련된 잘못된 통념, 디지털 성폭력의 원인과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10차시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한 홍보영상 만들기 디지털 성폭력 발생 시 대응방법을 알고,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한 홍보영상을 만들 수 있다.
  • 관련 교과 및
    성취기준
    • 국어
      [9국01-11] 매체 자료의 효과를 판단하며 듣는다.
      [9국02-07] 매체에 드러난 다양한 표현 방법과 의도를 평가하며 읽는다.
      [9국03-08] 영상이나 인터넷 등의 매체 특성을 고려하여 생각이나 느낌, 경험을 표현한다.
      [9국05-09] 자신의 가치 있는 경험을 개성적인 발상과 표현으로 형상화한다.
    • 기가
      [9기가01-03] 청소년의 성적 발달 특징을 이해하고, 자신과 타인의 성을 소중히 여기는 건강한 성 가치관을 형성한다.
      [9기가02-08] 성적의사결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성폭력의 원인과 영향을 개인 및 사회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예방 및 대처 방안을 탐색한다.
  • 지도 시 유의점
    • 디지털 미디어 이용 경험을 이야기하거나 홍보영상을 만드는 활동을 할 때, 디지털 미디어 이용 경험차로 인해 소외감을 느끼는 학생이 없도록 유의하여 지도합니다. 인기 있는 앱을 모르는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다는 것을 충분히 설명합니다.
    • 「디지털 환경에서의 학생 성폭력 실태조사 및 정책개선방안 연구(교육부, 2019)」 내용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에서 만난 사람에게 개인정보를 알려주는 것, 채팅은 무조건 위험한 문제이며, 조심해야 한다는 방식으로 접근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런 접근은 이후 학생들이 피해를 입게 되었을 때 채팅을 하며 개인정보를 알려준 나에게 책임이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디지털 미디어 사용 시 조심할 필요는 있지만 디지털 미디어 사용 그 자체는 잘못이 아니며, 다른 사람의 개인정보를 악용하거나 해킹하는 사람이 문제이자 이러한 행동이 범죄라는 것을 분명히 합니다.
    • 피해자의 어려움과 괴로움을 잘 이해하고, 피해자의 입장에서 충분히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