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추천 알고리즘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내가 좋아하는 미디어만 선택해서 보게 만드는 기술적 요인을 추천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유튜브나 페이스북 등에서 내가 보는 것과 유사한 것을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추천 알고리즘은 편리하기도 하지만 반면에 다양한 내용을 접하는 것을 어렵게 하기도 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 내 의견과 일치하는 것만 보고, 듣고, 읽게 되면 정보를 편식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2) 의견 극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는 정보가 많기 때문에 모든 정보를 일일이 접하고, 판단하고, 수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나름대로 편리하게 정보를 습득하는 방식을 구성하여 활용하게 되는데, SNS가 이러한 정보 습득의 대표적인 공간입니다. SNS에서 친구를 맺고, 팔로우하거나 구독하는 순간,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하고만 소통을 하게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사회에 다른 의견은 없다고 생각하고, 특정한 의견에만 동의하게 되면서 사회의 의견이 극단적으로 분화되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의견 극화라고 합니다.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를 지향하는 시민이 되려면 다양한 삶과 의견에 노출되어야 합니다. 나와 다른 사람이 함께 사는 삶, 보다 자유롭고 평등한 삶을 위해 한쪽으로만 치우쳐진 의견을 따르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
3) 가짜뉴스(허위정보)
가짜뉴스 혹은 허위 정보는 허위, 부정확 또는 오도(誤導)하는 정보로서 공공에 해를 끼칠 목적 내지 이윤을 낼 목적으로 설계·제작·유포되는 것을 말합니다. 가짜뉴스는 자극적인 내용이 많아 사람들은 이를 남에게 알려서 주목을 받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가짜뉴스를 유포하고 싶을 때, 사실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