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한
초등 성인지 감수성 교육

Ⅱ.디지털 성폭력의 이해
  • 이 단원에서는
    • 디지털 사회에서는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과 상호 연결이 되어 있어 의도치 않더라도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타인을 존중하는 미디어 이용이 디지털 성폭력을 예방하는 출발임을 이해합니다.
    • 디지털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보고, 일상 속에서 함께 실천하도록 합니다. 디지털 성폭력의 피해자가 가까운 사람에게 피해 사실을 알리지 못하는 이유를 생각해보고, 피해자의 주변인으로써 할 수 있는 일을 함께 고민해봅니다.
    • 디지털 성폭력 피해 시 대응방법과 상담·신고할 수 있는 곳을 알아보고, 디지털 성폭력은 피해자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고 피해자의 아픔에 공감하며 제2의 가해자가 되지 않도록 합니다.
  • 수업의 흐름
  • 차시 제목 차시 학습목표
    7차시 디지털 성폭력 예방할 수 있어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는 의도치 않게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음을 이해하고, 타인을 존중하는 미디어 이용이 디지털 성폭력 예방의 출발임을 이해한다.
    8차시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해 기억해요 디지털 성폭력 피해 시 대응법 및 디지털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설명할 수 있다.
  • 관련 교과 및
    성취기준
    • 국어
      [6국01-07] 상대가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듣는 태도를 지닌다.
    • 사회
      [6사02-02] 생활 속에서 인권 보장이 필요한 사례를 탐구하여 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보호를 실천하는 태도를 기른다.
    • 도덕
      [6도02-01]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에 대한 도덕적 민감성을 기르며, 사이버 공간에서 지켜야 할 예절과 법을 알고 습관화한다.
      [6도03-01] 인권의 의미와 인권을 존중하는 삶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인권 존중의 방법을 익힌다.
    • 실과
      [6실05-05] 사이버 중독 예방, 개인정보 보호 및 지식 재산 보호의 의미를 알고 생활 속에서 실천한다.
  • 지도 시 유의점
    • 수업 진행 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학생이 소외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 역시 고려해야 합니다. 인기 있는 앱을 모르거나 처음 듣는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충분히 설명합니다.
    • 온라인에서 모르는 사람에게 개인정보를 알려주는 것이 ‘무조건 문제다, 위험하다, 하지 말아야 한다, 조심해야 한다’는 방식으로 접근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럴 경우, 피해를 입게 되었을 때 개인정보를 알려준 나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상대방에게 개인정보를 알려줄 때 조심할 필요는 있지만 그 자체가 잘못이 아니며, 다른 사람의 개인정보를 악용하는 사람이 문제이고, 이러한 행위는 모두 범죄라는 점을 분명히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