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한
초등 성인지 감수성 교육

Ⅰ. 디지털 환경과 성인지 감수성
  • 이 단원에서는
    •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특성을 이해하고, 디지털 미디어가 갖는 익명성, 전파성, 지속성 등의 특성이 우리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 디지털 사회에서 미디어가 알려주는 정보를 어떻게 이해하고 판단해야 할지 생각해보고, 미디어 내용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연습을 해 봅니다.
    • 디지털 사회에서는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태도와 성인지 감수성을 가지고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합니다.
    •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는 사생활 침해나 사이버 괴롭힘 등이 일어나기 쉽다는 것을 이해하고,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살펴봅니다.
  • 차시 소개
  • 차시 제목 차시 학습목표
    1차시 디지털 미디어와 친구 되기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세계에서는 타인에게 상처를 주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차시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볼 수 있는 미디어 추천 알고리즘과 가짜뉴스(허위정보)의 특징 및 문제점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정보를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3차시 디지털 사회의 시민으로 살아가기 디지털 사회의 시민의 개념을 이해하고, 타인을 존중하며 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4차시 나는 어떻게 해야 하지? 사생활 침해 및 사이버 괴롭힘의 사례와 문제점을 이해하고, 이를 줄이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이야기할 수 있다.
  • 관련 교과 및
    성취기준
    • 국어
      [6국02-05] 매체에 따른 다양한 읽기 방법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적용하며 읽는다.
      [6국04-01] 언어는 생각을 표현하며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수단임을 이해하고 국어생활을 한다.
    • 사회
      [6사02-02] 생활 속에서 인권 보장이 필요한 사례를 탐구하여 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보호를 실천하는 태도를 기른다.
      [6사02-04] 헌법에서 규정하는 기본권과 의무가 일상생활에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고, 권리와 의무와 조화를 추구하는 자세를 기른다.
    • 도덕
      [6도02-01]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에 대한 도덕적 민감성을 기르며, 사이버 공간에서 지켜야 할 예절과 법을 알고 습관화 한다.
      [6도03-01] 인권의 의미와 인권을 존중하는 삶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인권 존중의 방법을 안다.
  • 지도 시 유의점
    • 개인의 온라인 활동을 돌아보고, 함께 나누는 과정에서 서로를 비난하지 않아야 합니다. 온라인 활동에 대해 돌아보는 것이 온라인 상호 감시 활동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또한 지금부터 변화할 수 있다는 것 역시 강조해야 합니다. 과거에는 재미삼아, 자고 있는 친구의 사진·영상을 찍고 놀렸을 수 있지만, 수업을 통해 이것이 문제라는 것을 알았다면 앞으로 하지 않으면 됩니다.
    • 서로 사용하는 프로그램, 어플, 온라인 공간의 특성이 매우 다를 수 있을 것입니다. 사전에 비공개 조사를 해보고 나서 혹 학생들 간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면 10대들이 많이 하는 사이트 순위 같은 조사 자료를 제시하고 이런 순위 속에 자신이 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전체적으로 이야기하는 정도로만 활동해도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