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한
초등 성인지 감수성 교육

Ⅰ. 디지털 환경과 성인지 감수성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볼 수 있는 미디어
  • 학습목표
    • 추천 알고리즘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 정보의 질과 진실성을 판단하고 비판적으로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
  • 수업의 흐름
  • 학습단계 학습과정 교수·학습 활동 자료
    동기유발 수업 열기
    어? 왜 이런 광고가 나오지?
    알고리즘을 통한 광고 이미지 살펴보기
    추천 알고리즘과 관련한 경험 공유하기
    활동지 1
    수업진행 활동 1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볼 수 있는 미디어
    추천 알고리즘의 개념 이해하기
    추천 알고리즘의 장점 생각해보기
    다른 의견을 접하지 못하게 하는 추천 알고리즘의 단점 생각해보기
    활동지 2
    생각 더하기
    재미로 봤던 영상이 자꾸 뜬다면?
    원하지 않는 동영상이 계속 추천된 경험 이야기하기
    추천 알고리즘으로 인해 관련 영상을 계속 보게 되면 생길 수 있는 일 생각해보기
    활동 2
    가짜뉴스(허위정보) 판별하기
    가짜뉴스(허위정보)에 대한 영상 시청하기
    가짜뉴스(허위정보)의 특징과 문제점 이해하기
    가짜뉴스(허위정보) 판별법 알아보기
    영상,
    활동지 3
    내용정리 수업 마무리
    비판적으로 미디어 이용하기
    비판적으로 미디어 이용하는 법 생각해보기
    미디어 이용 시 주의할 점 이야기하기
  • 주요개념
    • 1) 미디어의 선택적 노출과 추천 알고리즘
      인터넷 시대 이전에는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언론이나 방송의 개수가 매우 적었으나 현재는 100개도 넘는 언론사를 포털 서비스 뉴스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언론사 외에도 유튜브와 같은 1인 방송 채널 역시 무한히 존재합니다. 이렇게 많은 미디어들 중에서 개인이 원하는 미디어에만 노출되는 현상을 선택적 노출이라고 합니다. 이때 내가 선택한 미디어와 유사한 것을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기술적 요인이 있습니다. 이렇게 선택적 노출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기술적 요인을 추천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 2) 가짜뉴스(허위정보)
      가짜뉴스 혹은 ‘허위 정보’는 ‘허위, 부정확한 정보, 오해하게 만드는 정보’로서, 공공에 해를 끼치거나 돈을 벌기 위해서 만들어지고 유포되는 것을 말합니다.
    • 3) 가짜뉴스(허위정보) 판별을 위한 질문
      ① 전문가가 만든 뉴스인가요?
      ② 뉴스를 제작한 사람의 실명이 공개되어 있나요?
      ③ 제목만이 아닌 본문도 읽어 보았나요?
      ④ 근거는 확실한 것인가요?
      ⑤ 뉴스의 날짜는 확인해 보았나요?
      ⑥ 내 선입견이 정보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나요?
      ⑦ 다른 사이트에서도 검색이 되는 것인가요?
      ⑧ 팩트 체크 사이트 등에서 확인해 보았나요?
  • 2차시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볼 수 있는
    미디어
    •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볼 수 있는 미디어
    • 수업개요
    • 관련 성취기준
    학습목표
    • 디지털 미디어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선택적 노출의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 정보의 질과 진실성을 판단하고 비판적으로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
    • 가짜뉴스를 전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 수업열기
  • 어? 왜 이런 광고가 나오지?
    • 알고리즘을 통한 광고 이미지 살펴보기
    • 추천 알고리즘과 관련한 경험 공유하기
    • 어? 왜 이런 광고가 나오지?
    활동지 1
    • 활동지1
    • 활동지1
    교수 지도안
    어? 왜 이런 광고가 나오지?
    미디어의 추천 알고리즘과 관련된 경험을 공유하며 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활동입니다.*추천 알고리즘:선호할 만한 내용을 기술적으로 추론하여 자동으로 추천해 주는 것
    위 사진은 특정 사진 또는 영상을 시청했을 때 그에 맞춘 스폰서 광고가 나오는 SNS의 알고리즘을 보여줍니다. 유튜브, 트위터, 넷플릭스, 인스타그램 등 여러 매체에서 내 취향이나 사고 싶은 제품에 대해서 먼저 알고 추천해 준 경험을 공유해봅니다.
  • 활동1
  •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볼 수 있는 미디어
    • 추천 알고리즘의 개념 이해하기
    • 추천 알고리즘의 장점 생각해보기
    • 다른 의견을 접하지 못하게 하는 추천 알고리즘의 단점 생각해보기
    • 활동1 이미지
    • 활동1 이미지
    교수 지도안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볼 수 있는 미디어
    미디어 속 추천 알고리즘에 대해 이해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인터넷 시대 이전에는 방송의 채널과 신문의 개수가 매우 적었습니다. 현재는 100개도 넘는 언론사를 포털 서비스 뉴스 란에서 볼 수 있고, 언론사 외에도 유튜브와 같은 1인 방송 채널 역시 무한히 존재합니다. (이렇게 많은 미디어들은 개개인이 원하는 콘텐츠를 추천하여 제공하기도 합니다.) 위 그림을 보면, <사용자1>이 피자와 샐러드와 콜라를 먹었다는 기록을 반영하여, 피자와 샐러드를 먹은 <사용자2>에게 콜라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인공지능이 많은 사람들의 정보를 기억했다가 내가 보는 것과 유사한 것을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미디어의 기능을 ‘추천 알고리즘’이라고 부릅니다.
    미디어의 추천 알고리즘은 시간을 절약해 원하는 미디어를 접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나와 다른 의견이나 한번도 선택한 적이 없던 다른 종류의 상품 또는 콘텐츠에 대해 더욱 알기 어렵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활동지 2
    • 활동지2
    • 활동지2
    교수 지도안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볼 수 있는 미디어
    추천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이해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위 그림의 파란색과 빨간색은 미국에서 서로 다른 정당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연결선들은 온라인상에서 서로 친구가 되거나 댓글을 쓰는 등 서로 연결 관계를 의미합니다. 즉, 위 그림은 파란색과 빨간색 사람들 간에 연결고리가 생기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똑똑한 인공지능은 나와 비슷한 사람들만 연결해주어서 다른 색의 세상이 있다는 것을 전혀 알기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추천 알고리즘에 의해서 나와 다른 의견을 전혀 접하지 못하게 된다면, 어떤 문제가 생길지 생각해봅니다.
    • [자료출처]
    • [기사]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의 진화”(방송트렌드 & 인사이트, 2016.05.)
  • 생각 더하기
  • 재미로 봤던 영상이 자꾸 뜬다면?
    • 원하지 않는 동영상이 계속 추천된 경험 이야기하기
    • 추천 알고리즘으로 인해 관련 영상을 계속 보게 되면 생길 수 있는 일 생각해보기
    • 재미로 봤던 영상이 자꾸 뜬다면?
    • 재미로 봤던 영상이 자꾸 뜬다면? 생각 더하기
    교수 지도안
    재미로 봤던 영상이 자꾸 뜬다면?
    추천 알고리즘에 의해서 원하지 않는 영상에 자주 노출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이해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유튜브와 같은 미디어를 이용하다가 한 번 봤던 동영상과 비슷한 동영상이 계속 추천된 경험에 대해 이야기 나눕니다. 추천 알고리즘에 의해 재미로 혹은 호기심에 한번 봤던 영상에 원하지 않게 노출되면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을지 생각해봅니다.
    자극적인 영상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관련 내용에 대해 둔감해져서 더 자극이 강한 영상을 찾게 될 수 있고, 사람들의 이러한 심리를 이용하여 크리에이터들은 더욱 자극적인 영상을 제작하게 될 수 있습니다. 추천 알고리즘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활동 2
  • 가짜뉴스(허위정보) 판별하기
    • 가짜뉴스(허위정보)에 대한 영상 시청하기
    • 가짜뉴스(허위정보)의 특징과 문제점 이해하기
    • 가짜뉴스(허위정보) 판별법 알아보기
    • 가짜뉴스(허위정보) 판별하기
    활동지 3
    • 활동지3
    • 활동지3
    교수 지도안
    가짜뉴스(허위정보) 판별하기
    가짜뉴스(허위정보)와 악성 댓글에 대한 영상을 시청하고, 가짜 뉴스의 문제점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활동입니다.
    가짜뉴스(허위정보)는 오보에서부터 완전하게 허위로 작성된 내용까지를 모두 말합니다. 가짜뉴스(허위정보)는 언론의 형태를 빌려 나타나기도 하지만 요즘에는 SNS에 공유하기 쉬운 영상이나 게시물의 형태로도 많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특히, SNS를 통한 가짜뉴스(허위정보)는 전파성이 매우 높습니다. 가짜뉴스(허위정보)는 화가 나는 내용이 많습니다. 사람들은 매우 화가 난 상태에서 이런 일을 널리 알리고 싶다는 생각에 제대로 된 정보인지 살펴보지 않고 앞 다투어 공유하게 됩니다. 또한 놀랍고 화나는 일을 공유하며 분노를 표현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악성 댓글을 작성하게 될 수 있습니다.
    위 영상을 보고 어떤 생각을 했는지 서로 이야기해보고,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접하게 된 정보를 어떻게 판단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원칙은 “천천히”입니다. 차분하게 살펴보고, 따져본 다음에 공유하거나 댓글을 써도 늦지 않다는 것을 기억합니다.
    • [자료출처]
    • [영상] “악성 댓글! 정말 알고 쓰시나요?!” [교육부xKTV] (교육부TV, 2019.04.28.): https://youtu.be/DHZiSc1Llts
    • 가짜뉴스(허위정보) 판별하기
    교수 지도안
    가짜뉴스(허위정보) 판별하기
    가짜뉴스(허위정보)의 판별법을 알아보는 활동입니다.
    가짜뉴스(허위정보)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정보를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1) 외적 확인 : 출처 정보, 사이트의 모양, 기자 이름 등
    2) 내용 확인 : 본문의 내용을 다 읽어보았는지, 근거가 확인 가능한지, 다른 사이트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있는지 등
    3) 자가 확인 : 화가 나는지, 선입견은 없는지 등
    가짜뉴스(허위정보)의 정보를 확인하지 않은 채 바로 공유하거나 댓글을 다는 것은 가짜뉴스(허위정보)의 생명력을 키워주는 일이 됩니다. 따라서 가짜뉴스(허위정보)인지 판별하기 전에는 공유하지 않아야 합니다.
    • [자료 출처]
    • [도서] 「청소년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실천 지도 매뉴얼」(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 수업마무리
  • 비판적으로 미디어 이용하기
    • 비판적으로 미디어 이용하는 법 생각해보기
    • 미디어 이용 시 주의할 점 이야기하기
    • 수업마무리 이미지
    • 수업마무리 이미지
    교수 지도안
    비판적으로 미디어 이용하기
    추천 알고리즘, 가짜뉴스 등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며 수업을 마무리합니다.
    추천 알고리즘 기능의 단점을 알지 못하고, 미디어를 이용하며 접한 정보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다보면 다양한 정보를 접하지 못할 수도 있고, 점점 더 자극적인 정보를 찾게 될 수 있다는 내용을 배웠습니다. 따라서 내가 접한 정보가 가짜뉴스는 아닌지 천천히 판별한 후에 정보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 참고 및
    추가활용 자료
    • 참고 및 추가활용 자료 이미지